카테고리 없음

230622 목

홍삼절편 2023. 6. 22. 09:18
제목 : 뉴욕 마감시황
6/21(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30%)/나스닥(-1.21%)/S&P500(-0.52%) 파월 Fed 의장, 추가 금리 인상 재확인(-), 차익실현 매물(-)

이날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 발언 등 매파적 입장을 보이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최근 지수 강세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도 지속되는 모습.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30%, 0.52%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21% 하락.

파월 Fed 의장의 추가 금리 인상 발언이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파월 의장은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에 출석해 반기 통화정책을 보고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더 많은 금리 인상 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며, “거의 모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들은 연말까지 금리를 다소 올리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했음. 지난 14일 Fed가 연내 두 번 금리를 추가 인상하는, 즉 5.50~5.75%까지 올릴 것이라는 내용을 골자로 한 점도표를 공개했는데, 일주일 만에 공개석상에 나선 파월 의장이 이를 다시 재확인했음. 파월 의장은 “인플레이션은 지난해 중반 이후 다소 완화했다”면서도 “그럼에도 인플레이션 압력은 계속 높아지고 있고 Fed 목표치인 2.0%로 되돌리는 것은 갈 길이 멀다”고 언급했음. 이어 “경제가 예상대로 돌아간다면 2회 인상은 꽤 정확한 추측일 것”이라고 밝힘. 한편, 파월 의장은 하루 뒤인 22일에는 상원 은행위원회에 출석해 증언할 예정임.

이날 오스틴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외신 인터뷰에서 "한달 이상 남은 다음 회의에서 금리 결정이 어떻게 돼야할지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며, "금리 인상을 재개하기 전 인플레이션에 대한 더 많은 징후를 찾아야 한다"고 언급.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미 FOMC는 많은 일을 했다"며, 사전 계획을 세우기보다는 그때그때 상황을 보며 결정하는 ‘플레이 잇 바이 이어(Play-it-by-ear)’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제안했음. 로렌스 린지 전 Fed 이사는 “근원 인플레이션은 현미경으로 들여다봐야만 완화되고 있다. Fed가 움직여야 할 것”이라며 금리를 6%대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주장했음.

한편,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7월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28.1%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1.9%를 기록.

이날 국제유가는 파월 Fed 의장 매파적 발언에도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34달러(+1.88%) 상승한 72.53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파월 Fed 의장 추가 금리 인상 발언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기술장비, 소프트웨어/IT서비스, 재생에너지, 경기관련 서비스업, 의료 장비/보급, 자동차, 통신서비스, 화학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반면, 에너지, 복합산업, 보험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테슬라(-5.46%)가 파월 의장 추가 금리 인상 발언 속 투자은행 바클레이즈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 소식까지 전해지며 큰 폭으로 하락했고, 인공지능(AI)에 힘입어 상승 랠리를 이어오던 엔비디아(-1.74%), AMD(-5.73%), 인텔(-6.00%) 등 반도체 관련주들도 약세를 보임. 아마존(-0.76%)은 FTC가 프라임 회원 가입 및 취소와 관련해 소송을 제기했다고 발표한 가운데 하락했고, 애플(-0.57%), 마이크로소프트(-1.33%), 알파 벳A(-2.07%), 메타(-0.95%), 넷플릭스(-2.36%) 등 여타 대형 기술주들도 동반 하락. 페덱스(-2.51%)는 전일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밑도는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하락.

다우 -102.35(-0.30%) 33,951.52, 나스닥 -165.09(-1.21%) 13,502.20, S&P500 4,365.69(-0.52%), 필라델피아반도체 3,549.73(-2.68%)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6월 수출 5.3% 증가. 본격 수출 회복 위해서는 (1 중국더블딥 2 일본 초엔저 현상 3 미중갈등) 등 위협 넘겨야.

       * 더블딥 ( 경제 회복세 후 재침체)

       * 초엔저 (일본과 주력 수출 품목 유사. 한국 수출 품목 불리해짐 경쟁 열위 상태).

       * 미중갈등 (반도체 수출 규제, IRA법안, 중국의 미국 마이크론 제재 등)

- 소비자 물가는 하락세, 먹거리 물가는 상승세

- 근원물가 : 가격 변동성 큰 농산물, 석유류 물가 제외. --> 소비자 물가보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잘 나타냄.

  식품 가공업계의 원재료 부담 해소 위해 주요 식품 원재료에 할당관세 적용(한시적 관세율 인하). 분기별 식품 업계 간담회.

 

- 코로나 19 이후 고용시장은 고용증가세가 뚜렷함. 고용은 수출보다는 내수에 연관. 글로벌 경기 부진으로 수출은 안좋지만 내수로 버티고 있기에 우리나라 고용이 양호하게 나타남. 

그 증가세 중 많은 부분이 고령층 취업자 증가. 취업자는 증가했으나 노동총량은 그대로. 취업자 증가는 소득 소비 늘며 근원물가에 상방압력으로 작용 가능.

 

- 저축은행 예금 금리 상승세. 은행권 정기예금 금리 오르자 이탈 막으려 올린듯.

- 대환대출 플랫폼

- 온라인 예금상품 중개서비스 출시 (현재 신한은행만.) 충분한 예적금 확보한 은행들이 수수료 내며 플랫폼에 입점할 이유 없음. 고객정보 공유하는 것도 꺼림.

- 4대 그룹 현금 보유 늘림. 하반기 투자 계획.

 

- 디리스킹 (위험 완화) 경쟁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망 연결을 약화하는 온건 정책. (디커플링과 반대)

why?

1. 복잡한 글로벌 공급망을 전면적으로 분리하기 어렵.

2. 갑작스러운 공급망 분리가 새로운 인플레이션, 경제적 충격 유발 가능.

 

--> 디리스킹의 방법

1. 국내 산업 역량 강화, 유사 입장국과 협력해 중국 공급망에 대한 의존을 줄이는 것이 목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반도체법, 인프라스트럭처법 등),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eu와 MSP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 체결.)

    --> 미국 내부 공급망 자립 역량 강화, 동맹국과 협력하여 글로벌 공급망의 복원력 보장. 

2. 맞춤형 기술 통제 정책 (좁은 범위에서 강력한 규제. 첨단 반도체, ai, 양자컴퓨팅 강력한 수출 규제. 엔비디아 등..)

 

--> 우리나라에게는?

1. 첨단 반도체 분야에서 중국의 추격을 지연, 5g 전기차 2차전지 시장에서 우리나라 점유 확대 가능.

2.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와 중국의 중간재 수입 대체 정책, 애국 소비 트렌드 등은 중국시장 내 한국 점유 낮출 가능성.

3. 중국의 리튬 코발트 흑연 희토류 등 전략광물 무기화 가능성 --> 치명적 타격.

--> 중장기적 공급망 디리스킹 전략을 모색해야. 판매 시장과 생산 거점을 경제 권역별로 다각화하고 전략광물을 선제적으로 개발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