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3(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30%)/나스닥(+1.01%)/S&P500(+0.73%) 11월 CPI 둔화(+), FOMC 경계감(-)
이날 뉴욕증시는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1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큰 폭으로 둔화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30%, 0.73%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01% 상승.
대표적 인플레이션 지표인 CPI가 둔화된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美 노동부가 발표한 11월 CPI가 전년동월대비 7.1% 상승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7.3%를 하회했음. 전월치 7.7% 상승에서도 큰 폭으로 낮아졌으며, 두 달 연속 7%대를 유지했음. 이는 지난해 12월 이후 최소 상승폭으로, 올해 6월 9%를 돌파했던 CPI 상승폭이 둔화세를 이어오고 있음. 전월대비로도 0.1%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음.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동월대비 6.0%, 전월대비 0.2% 상승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음. 이에 인플레이션이 추세적으로 둔화하고 있다는 인식이 강해졌으며, 美 국채금리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 특히, 10년물 국채금리가 급락하며 3.50% 수준으로 떨어졌고, 2년물 수익률도 4.22% 수준으로 급락했음. 10년물과 2년물 국채금리 격차는 마이너스폭이 축소됐음.
이날 올해 마지막 FOMC 회의가 개최된 가운데, CPI 지표가 둔화되면서 Fed가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것이란 전망이 더욱 커지는 모습.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12월에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마감 시점에 79.4%를, 0.75%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20.6%를 기록. 다만, 여전이 인플레이션이 6~7%로 Fed 목표치인 2%를 크게 웃돌고 있는 가운데, Fed가 금리 인상폭을 낮추더라도 인플레이션에 있어 강경한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커지는 모습.
FOMC 회의 결과가 현지시간으로 14일 오후 2시(한국시간 15일 새벽)에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시장에서는 FOMC 정례회의 이후 공개하는 점도표와 제롬 파월 Fed 의장 연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음. 한편, 이날 발표된 11월 소기업 낙관지수는 91.9로 전월의 91.3에서 상승했음. 이는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90.8을 웃도는 수치지만, 역사적 평균인 98을 11개월 연속 밑돌았음. 이날 국제유가는 美 인플레 둔화 속 달러 약세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22달러(+3.03%) 급등한 75.39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CPI 둔화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약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급등.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에너지,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금속/광업, 복합산업, 경기관련 소비재, 개인/가정용품, 통신서비스, 화학, 보험, 산업서비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인플레이션 둔화 속 국채금리 급락 등에 애플(+0.68%), 마이크로소프트(+1.75%), 아마존(+2.14%), 알파벳A(+2.49%), 메타(+4.74%), 넷플릭스(+1.64%), 엔비디아(+3.06%) 등 주요 기술주들이 대부분 상승. 국제유가 급등세 지속 속 엑슨 모빌(+1.09%), 셰브론(+2.23%), 마라톤 오일(+1.84%) 등 에너지 업체가 상승했고, 모더나(+19.63%)가 맞춤형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이 피부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봤다는 소식에 급등. 화이자(+1.74%)는 골드만삭스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 소식에 상승. 반면, 테슬라(-4.09%)가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유나이티드항공(-6.94%)이 보잉 드림라이너 787 여객기를 최소 100대 이상 주문했다는 소식 속에 하락. 보잉(+0.46%)은 소폭 상승.
다우 +103.60(+0.30%) 34,108.64, 나스닥 +113.07(+1.01%) 11,256.81, S&P500 4,019.65(+0.73%), 필라델피아반도체 2,821.53(+1.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