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1(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상승, 다우(+1.60%)/나스닥(+1.54%)/S&P500(+1.49%) 나이키 실적 호조(+), 소비 지표 개선(+), 저가 매수세 유입(+)
이날 뉴욕증시는 저가 매수세가 이어진 가운데, 나이키 실적 호조 및 소비 지표 개선 등에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60%, 1.4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54% 상승.
전일 장 마감 후 나이키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한 점이 증시에 호재로 작용. 나이키는 전일 장 마감 후 2023회계연도 2분기 실적을 발표. 지난 9~11월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17% 증가한 133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같은 기간 주당순이익(EPS)은 0.85달러로 전년동기대비 2.4% 증가했음. 매출과 EPS 모두 팩트셋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임. 아울러 내년 5월에 끝나는 2023회계연도의 매출 증가율 예상치를 10%대 초반으로 상향 조정했음. 이 같은 소식에 나이키 주가는 12% 넘게 급등했고, 룰루레몬, 언더아머 등 여타 소매업체들도 강세를 기록.
아울러 실물경기를 잘 반영해 통상 글로벌 경기동향을 파악할 수 있는 선행지표로 활용되는 페덱스도 전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주당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고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하면서 긍정적으로 해석되는 모습.
한편, 마이크론은 이날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부진한 실적을 발표.
美 소비 지표가 개선된 모습을 보인 점도 긍정적으로 작용. 콘퍼런스보드가 집계한 미국의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8.3을 기록해 전월의 101.4보다 개선됐음. 이는 시장 예상치 101.2도 상회하는 수치로, 올해 4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임. 아울러 콘퍼런스보드는 12월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지난해 9월 이후 약 1년 3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고 밝힘.
반면, 미국 부동산중개인협회(NAR)가 발표한 11월 기존주택판매는 전월대비 7.7% 줄어든 연율 409만채를 기록해 10개월 연속 감소세를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치로, 2020년 5월 이후 최저치임.
한편, 골드만삭스는 내년 미국에서 금리 인하와 경기침체 모두 없을 것으로 전망했음. 얀 하치우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는 “경기침체를 예상하지 않는 만큼 금리 인하를 기대하지 않는다”며, “경기침체 확률은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35%”라고 언급. 이어 “경제가 계속 성장하고 노동 시장에서 조정이 계속되지만, 경기침체는 없다는 것”이라고 재차 강조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Fed가 내년 2월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은 70.1%로 나타났으며, 0.50%포인트 금리 인상 가능성은 29.9%를 기록.
이날 국제유가는 美 원유재고 감소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06달러(+2.70%) 급등한 78.29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PCE 물가 지표 대기 속 혼조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숨고르기 장세 속 보합.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소매, 재생에너지, 개인/가정용품, 제약, 에너지, 경기관련 소비재, 음식료, 의료 장비/보급, 산업서비스, 화학, 금속/광업, 운수, 통신서비스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나이키(+12.18%)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급등했고, 룰루레몬(+3.13%), 언더아머(+5.21%) 등 여타 소매 업체들도 상승. 페덱스(+3.43%) 매출 부진에도 주당 순이익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고 비용 절감 계획을 발표하면서 상승. 애플(+2.38%)은 씨티그룹의 긍정적 분석 등에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1.09%), 아마존(+1.85%), 알파벳A(+0.63%), 메타(+2.28%), 넷플릭스(+3.39%), 엔비디아(+2.59%) 등 주요 기술주들이 대부분 상승. 반면, 테슬라(-0.17%)는 연일 하락. 한편,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장 마감 후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세를 기록.
다우 +526.74(+1.60%) 33,376.48, 나스닥 +162.26(+1.54%) 10,709.37, S&P500 3,878.44(+1.49%), 필라델피아반도체 2,644.50(+2.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