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230208 수

by 홍삼절편 2023. 2. 8.

2/7(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78%)/나스닥(+1.90%)/S&P500(+1.29%) 파월 Fed 의장 디스인플레이션 발언(+), Fed 추가 금리 인상 우려 지속(-)

이날 뉴욕증시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지만, 디스인플레이션 발언 등이 긍정적으로 해석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78%, 1.2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90% 상승.

파월 Fed 의장 발언이 시장 예상을 벗어나지 않은 가운데, 디스인플레이션 언급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 파월 의장은 이날 워싱턴DC 이코노믹클럽 행사에 첨석해 “고용 보고서로 인해 현재 인플레이션 상 황에 대한 평가는 달라지지 않았다며, 여전히 ‘디스인플레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이라고 언급했음. 다만, “주택, 서비스 부문에서는 아직 인플레이션 완화 추세가 보이지 않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목표치(2%)까지 끌어내리기 위한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밝힘. 이어 “이는 순조롭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2년여의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언급했음. 아울러 연내 금리 인하를 기대해온 시장이 틀렸느냐는 질문에 "데이터가 강하다면 우리가 예측한 것보다 더 높게 금리를 올릴 수밖에 없다"고 언급했으며, 최근 지표들과 관련해 "노동시장이 해치지 않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아지고 있으니 좋은 것이라며, 경제가 강하기때문에 노동시장도 강한 것"이라고 평가했음.
시장에서는 이번 파월 의장 발언이 앞서 2월 FOMC에서 나온 발언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해석되면서 안도감이 형성되는 모습.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은 지속되는 모습.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이날 한 인터뷰에서 고용이 크게 늘었다는 것은 Fed가 인플레이션 억제와 관련해 여전히 해야 할 일이 있다는 의미라며, 기준금리를 5.4%까지 인상해야 한다는 종전 입장을 유지했음.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전일 인터뷰에서 이번 고용 보고서와 같은 상황이 계속 이어진다면 "지금 예상보다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는 의미일 것"이라고 언급했음. 주요 기업들의 실적은 대체로 예상치를 상회하는 모습. 렌터카업체 허츠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영국계 석유업체 BP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 팩트셋에 따르면, 지금까지 실적을 발표한 기업 중에서 69%의 기업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순이익을 발표한 것으로 전해짐.

이날 美 상무부가 발표한 지난해 12월 무역수지 적자는 674억 달러로 전월대비 10.5% 증가했음. 12월 수출은 2,502억 달러로 0.9% 감소한 반면, 수입은 3,176억 달러로 1.3% 증가. 이에 따라 지난해 연간 수출은 전년대비 17.7% 늘어난 3조97억 달러, 수입은 16.3% 증가한 3조9,578억 달러로 무역수지 적자는 9,481억 달러를 기록. 지난해 무역수지 적자는 역대 최대치였던 전년보다 12.2% 커지면서 최대 규모 적자 기록을 경신했음.

한편, 이날 저녁 조 바이든 美 대통령의 국정연설이 예정돼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연설에서 인플레이션 대응 등 경제 부문에 대한 입장을 비중 있게 다룰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한, 연방정부 부채 한도 상향을 비롯해 핵심 입법 과제에 대한 의회의 협조도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날 국제유가는 파월 Fed 의장 발언 소화 속 中 원유 수요 기대감 지속 등에 급등.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3.03달러(+4.09%) 급등한 77.14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파월 의장 발언 소화 속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혼조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상승. 업종별로는 상승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운수, 에너지, 복합산업, 산업서비스, 기술장비, 의료 장비/보급, 소프트웨어/IT서비스, 보험, 은행/투자서비스, 재생에너지, 제약 업종 등의 상승세가 두드러짐. 반면, 음식료, 소매, 자동차 업종 등은 하락. 종목별로는 전일 장 마감 후 구글이 오픈AI의 챗GPT에 대항할 '바드' 인공지능(AI) 플랫폼을 수주일 안에 출범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구글 모회사 알파벳A(+4.61%)가 큰 폭으로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4.20%)도 검색엔진 빙(Bing)에 AI 챗봇을 장착한다고 발표하면서 큰 폭 상승. 바이두(+12.18%)도 AI 챗봇 ‘어니 봇’을 출시할 것이라는 소식에 급등하는 등 챗봇 관련주들이 강세. 줌(+9.85%)은 전체 직원의 15%에 해당하는 약 1,300명을 감원할 계획이라고 밝힌 가운데 급등. 애플(+1.92%), 메타(+2.99%), 넷플릭스(+0.41%), 엔비디아(+5.14%), 테슬라(+1.05%) 등 주요 기술주들도 대부분 상승. 허츠(+7.47%)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했고, BP(+8.35%)는 지난해 역대 최대 순이익을 기록하면서 급등. 반면, 전일 10억2,500만 달러 증자를 통해 부채를 축소하겠다고 발표한 베드배스앤드비욘드(-48.63%)는 폭락. 다우 +265.67(+0.78%) 34,156.69, 나스 닥 +226.34(+1.90%) 12,113.79, S&P500 4,164.00(+1.29%), 필라델피아반도체 3,124.15(+3.12%)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210 금  (0) 2023.02.10
230209 목  (0) 2023.02.09
230203 금  (0) 2023.02.03
230202 목  (0) 2023.02.02
230201 수  (0)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