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231027 금

by 홍삼절편 2023. 10. 27.
제목 : 뉴욕 마감시황
10/26(현지시간) 뉴욕증시 하락, 다우(-0.76%)/나스닥(-1.76%)/S&P500(-1.18%) 기업 실적 우려(-), GDP 성장률 호조(+)

이날 뉴욕증시는 미국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강한 모습을 보였지만, 고금리 장기화 우려 속 주요 빅테크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면서 3대 지수 모두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0.76%, 1.18%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76% 하락.

주요 빅테크 기업 실적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 전일 클라우드 실적에 대한 실망감 속 알파벳이 급락세를 보인 가운데, 이날 메타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에도 4분기 매출 가이던스 불확실성 및 광고 매출 둔화 우려 등이 부각되며 향후 실적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모습. 전일 장 마감 후 메타는 3분기 매출액 341억5,000만 달러, 순이익 115억8,000만 달러, 주당 순이익 4.39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 이는 시장 예상치를 모두 크게 상회하는 수치임. 4분기 매출 전망치는 365억∼400억 달러로 제시했음. 이는 평소 내놓는 전망치의 범위를 25억 달러 더 넓힌 것으로, 중동 지역 불확실성으로 그만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으로 해석됐음. 특히,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으로 광고 수익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음. 수잔 리 메타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실적 발표 후 가진 콘퍼런스 콜에서 "4분기 초 광고가 약세를 보였다"고 언급했으며, "(광고 약세는) 4분기 매출 전망에 반영된 분쟁의 시작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 이에 메타 주가가 하락했고,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넷플릭스, 테슬라, 엔비디아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대부분 하락. 한편, 아마존과 인텔은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

이날 발표된 3분기 GDP 성장률은 강한 모습을 보임. 美 상무부에 따르면, 계절 조정 기준 3분기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연율 4.9% 증가해 2021년 4분기 이후 7개 분기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 이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4.7%보다 높은 수준으로, 2분기 2.1%의 두 배를 웃도는 수치임. 재닛 옐런 美 재무장관은 미 국 경제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자평하고 경기 침체 신호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언급하면서 올해 美 성장률은 2.5%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음.
다른 경제지표도 양호한 모습. 상무부에 따르면, 9월 내구재 수주 실적은 계절 조정 기준 전월대비 132억 달러(4.7%) 증가한 2,972억 달러로 집계됐음. 이는 석 달 만에 증가한 것으로, 월스트리트저널(WSJ) 전망치 2.0% 증가를 상회하는 수치임. 노동부가 발표한 지난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구건수는 전주대비 1만명 늘어난 21만명을 기록. 이는 시장 예상치인 20만7,000명보다 많았지만, 여전히 기록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음.

한편, 美 국채금리가 하락세를 보였지만, 고금리 장기화 우려는 지속되는 모습. 2년물 국채금리는 9bp 이상 하락한 5.05%를, 10년물 국채금리는 11bp 떨어진 4.84%를, 30년물 국채금리는 10bp가량 떨어진 4.98%를 나타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11월에 기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99.4%를 기록. 12월 회의까지 기준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79.6%, 0.25%포인트 이상 인상할 가능성은 19.8%를 나타냄.

이날 국제유가는 이라스엘-하마스 전쟁 주시 속 급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2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2.18달러(-2.55%) 급락한 83.21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GDP 소화 속 7년물 입찰 호조 등에 강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美 경제지표 호조 등에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안전자산 선호 심리 지속 등에 상승.

업종별로는 하락 업종이 우세한 가운데, 복합산업, 제약, 운수, 에너지, 개인/가정용품, 소프트웨어/IT서비스, 금속/광업, 의료 장비/보급 업종 등이 하락. 반면, 은행/투자서비스, 통신서비스, 보험, 유틸리티 업종 등은 상승. 종목별로는 메타(-3.73%)가 3분기 실적 호조에도 4분기 실적 우려 등에 하락했고, 전일 클라우드 실적 실망감 속 9% 넘게 급락했던 알파벳A(-2.65%)가 이날도 하락세를 이어감. 애플(-2.46%), 마이크로소프트(-3.75%), 아마존(-1.50%), 엔비디아(-3.48%), 넷플릭스(-1.87%), 테슬라(-3.14%), 인텔(-0.94%) 등 대형 기술주들이 대부분 하락. 마텔(-7.61%)은 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연말 쇼핑 시즌에 수요 둔화를 경고하면서 하락했고, 컴캐스트(-8.42%)는 초고속 광대역 가입자 관련 수익성 우려 등에 하락. 웨스턴 디지털(-9.29%)은 일본 키옥시아와 합병 추진 논의가 중단됐다는 소식에 급락했고, 포드(-1.65%)는 전미자동차노조(UAW)가 6주째 이어진 파업을 끝내기 위한 잠정 합의에 도달했다는 소식에도 하락. 포드는 장 마감 후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시간외 거래에서도 하락. 반면, IBM(+4.87%)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

다우 -251.63(-0.76%) 32,784.30, 나스닥 -225.61(-1.76%) 12,595.61, S&P500 4,137.23(-1.18%), 필라델피아반도체 3,188.42(-0.54%)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유럽 중앙은행 금리 동결

- 물가 상승세 다소 완화, 일부 유로존 회원국에서 경기 침체 신호 반영

 

- 일본 엔화가치 연중 최저치. 미국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미국과 일본의 금리차 벌어진 영향

- 금리 오르면 통화 가치도 따라 오르는 것이 일반적. 일본은 금리 치솟아도 엔화 가치 떨어짐 ㅋㅋ

 

- 서울 전세거래 중 역전세 심화. 자견부터 고금리와 경기침체 여파로 전세값 하락.

- 전세사기 등의 영향으로 빌라 기피 현상. 당분간 비아파트 시장의 빙하기.

 

- 중산층 복원

- 주거 안정, 사회진출 지원

- 가처분 소득 늘려야(고등교육에 교육 교부금 사용하는 방안)

- 저출산 --> 유연근무제 확산. 

- 중소기업 근로자의 자산 형성 지원에 나서야. 중소기업 근로자 대상 주택청약 비중 확대. 

 

- 전세사기 막으려면?

- 확정일자 효력을 잔금일로 앞당기자!

- 전입세대확인서의 온라인 발급을 다가구 주택까지 확대하자.

- 사기 피해 방지를 위한 교육을 확충하자. 부동산 안심거래 매뉴얼을 대학교나 청년센터에 배포.

- 상습적 사기 범죄자의 신상공개.

 

- 기업을 잃은 지방이 빠르게 소멸 중.

- 파격적인 상속세 혜택

- 법인세 혜택. 

- 근로자에 대한 다양한 혜택이 필요. 중소기업 취업자와 외국인 근로자 기술자에 대한 근로소득세 감면제도

 

- 젊은 층의 연금 준비 부족.

- 취업 연령이 늦어지고 파트타임 일자리를 선호하는 젊은층이 늘어난 탓.

 

- 성장률 변수

- 이팔 전쟁으로 인한 고유가 리스크, 미국 고금리 발작, 중국 부동산 불안

- 고유가 상황 심화되면 교역 환경 악화, 물가부담 커지고 민간소비에 찬물

- 10월 수출이 +로 전환. 

--> 성장률 높이기 위해서는 부동산에 집중된 국내 자본을 순환시킬 필요 있음.

+ 반도체, 선박, 농업, ai 등 성장성 있는 분야를 찾아 육성해야 함.

 

- 미국 경제 견조한 상황. 모기지 금리 최고 수준인데도 주택 수요 유지 되는 중.

- BUT! 높은 미국 국채 금리가 모기지 금리, 기업의 이자비용, 신용카드 상환 부담을 높일 수 있음

- 이팔 전쟁 장기화 된다면 경기 둔화 요인으로 작용 가능.

- 미국 자동차 대출과 신용카드 연체율도 증가 중.

 

- 브라질 에너지 사업에서 위안화 기반 상업대출 시행. 

'하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031 화  (0) 2023.10.31
231030 월  (0) 2023.10.30
231026 목  (2) 2023.10.26
231025 수  (0) 2023.10.25
231024 화  (1) 2023.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