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230731 월

by 홍삼절편 2023. 7. 31.
제목 : 뉴욕 마감시황
7/28(현지시간) 뉴욕증시 상승, 다우(+0.50%)/나스닥(+1.90%)/S&P500(+0.99%) PCE 물가지표 둔화(+), 인텔 등 기업 호실적(+)

이날 뉴욕증시는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수인 PCE 가격지수가 둔화되는 모습을 보인 가운데,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되며 3대 지수 모두 상승.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각각 0.50%, 0.99% 상승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1.90% 상승. 다우지수는 한 주간 0.66% 상승했고, 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1%, 2% 가량 상승. 특히, 다우지수는 지난 26일까지 13거래일 연속 올라 1987년 이후 최장기간 상승세를 기록한 바 있음.

美 상무부가 발표한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6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동월대비 4.1% 상승해 전월치(4.6%) 및 시장예상치(4.2%)보다 둔화. 이는 2021년9월 이후 최저치임. 전월대비로는 0.2% 올라 시장예상치인 0.2% 상승에 부합했으며, 전월치 0.3% 상승보다 둔화됐음. 2분기 고용비용지수(ECI)는 전년동기대비 4.5% 올라 전분기인 4.8%보다 둔화. 전기대비로는 1.0% 상승해 시장예상치(1.1%)를 하회했음. 6월 CPI가 예상보다 크게 둔화한 데 이어, PCE 가격지수도 빠르게 둔화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줄고 있음을 시사하는 모습. 한편 미시간대에 따르면,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4%로 전월(3.3%)대비 약간 올랐으며, 장기(5년) 기대 인플레이션은 3.0%로 유지됐음.
아울러 6월 개인 소비지출은 전월대비 0.5% 증가해 시장의 예상치에 부합. 2분기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2.4%를 기록한 데 이어, 소비도 증가세를 유지하면서 경기에 대한 낙관론도 강화되는 모습.

이에 연준이 이번달 금리 인상을 마지막으로 연내 금리 인상을 하지 않을 수 있다는 기대도 커지고 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오후 기준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금리를 5.25~5.50%로 동결할 확률은 80.0%를 나타냈음.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이 이어지고 있는 점도 증시에 긍정적으로 작용. 전일 장 마감 후 인텔이 PC와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 호조로 호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모습. 인텔의 2분기 순이익은 14억8,000만달러를 기록해 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했으며, 조정 기준 주당순이익(EPS)은 13센트로 인텔이 예측했던 주당 4센트 손실보다 양호한 모습. 이는 3개 분기만에 흑자전환한 수치임. TV용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기업인 로쿠는 2분기 시장의 예상을 웃돈 실적을 발표했으며, 이에 오펜하이머, 로젠블래트, 니덤, JP모건 등 월가에서 로쿠의 목표주가를 줄줄이 상향 조정했음. 생활용품업체 프록터앤드갬블(P&G)은 가격 인상 덕에 시장예상치를 웃돈 순이익과 매출을 발표했으며, 포드도 2분기 호실적과 함께 연간 실적 전망치를 상향 조정했음. 다만, 전기차 전환이 예상보다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며 전기차 부문 적자폭은 예상보다 커질 것으로 전망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美 물가지표 둔화 등에 상승.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9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49달러(+0.61%) 상승한 80.58달러에 거래 마감.

美 국채가격은 물가지표 둔화 등에 상승했으며, 달러화는 견조한 美 지표, BOJ의 YCC 일부 수정 등에 혼조.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가격은 인플레이션 둔화 신호 등에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의 업종이 상승한 가운데, 재생에너지, 소프트웨어/IT서비스, 자동차, 개인/가정용품, 소매, 운수 업종 등의 상 승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인텔(+6.60%)이 3개 분기만에 흑자로 돌아선 가운데 상승했으며, 애플(+1.35%), 마이크로소프트(+2.31%), 아마존(+3.09%), 알파벳A(+2.46%), 메타(+4.42%), 테슬라(+4.20%) 등 주요 기술주들도 상승. 로쿠(+31.41%)가 시장예상치를 웃돈 실적에 급등했으며, P&G(+2.83%)는 가격 인상에 따른 호실적 발표에 상승. 반면, 포드(-3.42%)는 예상치를 웃돈 실적에도 이익률이 하락했다는 소식에 하락.

다우 +176.57(+0.50%) 35,459.29, 나스닥 +266.55(+1.90%) 14,316.66, S&P500 4,582.23(+0.99%), 필라델피아반도체 3,851.76(+2.22%)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8월 CPI 상승률 전망치 2.4%. 국제유가의 하향안정세, 작년 7월 물가 상승률이 6.3%까지 올랐던 기저효과. 내달부턴 기저효과 축소로 물가 둔화세가 약화될 것.

 

- 무역수지 다시 적자 전환. (휴가철 맞아 생산 감소와 유류 소비 증가 맞물려 적자 기조 이어질 가능성). 

- 반도체와 대중 수출 부진의 원인. 

 

- 제조업 재고 급감 중. 

--> '재고조정'의 시기를 거치며 수출의 '업턴' 전환 계기 될 수 있음.

- 내부적으로 고금리 장기화. 한계상황에 내몰린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이 늘어나고 있고, 부동산 침체로 인한 펀드 부실, 금융불안 가능성 배제 어렵. + 가계 가처분소득 위축. 소비 정상적 증가 불가.

- 정부는 취약부문에 대한 철저한 리스크 관리. + 수출 투자 내수 활성화 등 경제활력 제고 위한 경제정책방향 과제를 빠르게 이행. 반등 모멘텀을 공고히 해야함.

 

- 엔저 영향크다는 측! : 일본과 경쟁 많은 (조선, 가전, 섬유, 철강 기업들이 주) 고품질 철강의 가격 경쟁력 --> 수주 경쟁에서 불리해질 수 밖에.

- 엔저 영향 없다는 측 ! : 일본산 소재 부품 들여야 고부가 기술 더하는 공급망 구조 확대. 일본 제조업계 후퇴로 수출품목 차별화로 별 타격 없기도 함.

or 원화 동반 약세로 영향 미미

 

- '골디락스' : 경기침체 없이 물가 상승세를 잡을 수 있따는!. 고용솨 소비지표 탄탄하고 물가 상승 추세도 둔화 중.

 

- 일본 수익률곡선제어YCC정책 축소.

- 긴축적 통화정책으로 방향 전환 신호. 

- 국채 10년물 무제한 매입 금리를 1%로 상승. 

- 출구전략 가시화시, 해외 유출 자금 일본으로 들어올 것.

- 일본의 낮은 금리로 엔화를 빌려 금리 높은 나라 자산에 투자하는 엔캐리 트레이트 투자자는 민감해질 것.

- 1년에 25조엔을 공공부채 상환에 쓰는 일본 정부의 재정부담 커질 것. 일본 국채금리 1% 오르면, 26년까지 상환 부담액이 3조 6000억원 늘어날 것으로 추산.

 

- 독일 에너지 위기로 역성장 우려. 

- EU 차원의 제재에 따른 후폭풍. 중국발 수요 둔화와 유럽중앙은행의 긴축 기조 겹치며 제조업 크게 위축. 

- 독일 차업계가 내연기관차 생산에 치우쳐 있다는 것도 약점. 

- 미국과의 기술 격차 점점 더 벌어질 것. IRA에 따른 타격 클 것.

 

- 은행권 자영업자 대출 가산금리 큰 폭으로 상승 중. 

- 대출금리 = 준거금리 + 가산금리. (가산금리는 업무원가, 리스크 관리 비용, 법적 비용, 목표이익률 등 고려. 은행마다 다르게 책정. 

- 준거금리 줄여 비용원가는 줄었지만, 자체 이익률 위해 가산금리 올림. 

--> 자영업자 체감 금리는 비슷~~

- 최근 금리 불안으로 리스크 프리미엄 같은 항목이 더 반영되었다는 설명.

- 올해 1분기 자영업자 전체 금유기관 대출잔액 1033조원. (사상 최대 기록).

- 연체율 상승 속도도 상당히 높은 중. 

 

- 지방금융지주의 비은행 계열사의 실적 부진. 

- 특히 증권사들의 부동산 경기 침체 PF 영업 축소하며 이익 감소. 지방은행의 순이자마진NIM도 일제히 하락. 

- 자산건전성도 악화되는 중. 충당금 선제 적립. 

 

- 증권업계 장기채 발행 통해 자금조달 중...

- 만기 다가오는 단기채권 물량을 회사채를 발행해 상환.

- 경기 불확실할때는 단기채 선호 (짧은 만기로 금리 변화에 유동적으로 대응 가능)

-  증권사들은 PF 침체, 부실로 단기채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커지며 장기채를 늘리는 중.

 

- 신보 대위변제율 5.1%까지 급등. 

- 지역 신보 신규 보증공급액 증가. 보증부실률도 급등. 신용위험지수도 증가. 

- 지역 신보 출연요율 << 타 보증기관 출연요율. (신보, 기보의 20~30% 수준.)

- 금융권 연체율, NPL 상승 등 건전성 우려에 충당금 쌓는 상황에서, 출연요율 인상은 부담으로 작용. 

 

- 조세지출 : 정부가 받아야할 세금을 받지 않음으로써 간접적으로 지원해주는 조세 감면.

(동일한 액수만큼의 보조곰을 준 것과 같다는 의미에서 '숨은 보조금')

- 조세지출 확대는 재정 압박 요인. 

'하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802 수  (0) 2023.08.02
230801 화  (0) 2023.08.01
230728 금  (0) 2023.07.28
230727 목  (0) 2023.07.27
230726 수  (0)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