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231004 수

by 홍삼절편 2023. 10. 4.

연휴 끝!

 

제목 : 뉴욕 마감시황
10/3(현지시간) 뉴욕증시 큰 폭 하락, 다우(-1.29%)/나스닥(-1.87%)/S&P500(-1.37%)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속 국채금리 급등(-)

이날 뉴욕증시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장기화 우려가 지속되면서 국채금리가 급등세를 보인 영향으로 3대 지수 모두 큰 폭 하락. 다우지수와 S&P500지수가 1.29%, 1.37% 하락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87% 하락.

美 장기 국채금리가 2007년 이후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하는 등 급등세를 보이면서 증시에 악재로 작용. Fed가 더 높은 금리를 더 오래 유지할 것이란 우려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美 10년물 국채금리는 4.8%를 넘어서며 2007년 8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 30년물 국채금리도 4.9%를 돌파하며 2007년 9월 이후 최고치를 경신했고,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8%에 육박하는 모습을 보임. 美 주요 경제지표가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데다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이 잇따르고 있음.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금리 동결을 주장하면서도 "오랫동안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는 등 높은 금리를 오랫동안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음.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올해 기준금리를 연내 한 차례 더 올려야 한다고 언급. 앞서 미셸 보우만 Fed 이사는 "인플레이션을 제때 2%로 되돌리기 위해 추가 금리 인상이 필요할 것으로 계속 예상하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으며, 마이클 바 Fed 부의장도 "상당 기간 고금리를 유지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에 밸류에이션 부담이 큰 대형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이면서 증시 하락을 이끌었음.

이날 발표된 구인 및 이직(JOLTs) 보고서에 따르면, 8월 채용공고는 961만건으로 전월대비 69만건 가량 증가했음. 이는 4월 이후 최고치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예상치 880만건도 웃도는 수치로, 고용 시장이 여전히 타이트하다는 점을 시사했음.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 선물 시장에서 마감 시점 Fed가 11월에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은 69.1%를, 0.25%포인트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30.9%를 기록.

이날 국제유가는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소폭 상승.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11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0.41달러(+0.46%) 상승한 89.23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Fed 긴축 장기화 우려 지속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하락.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통신서비스, 소매, 자동차, 금속/광업, 의료 장비/보급, 소프트웨어/IT서비스, 재생에너지, 기술장비, 화학, 경기관련 서비스업, 은행/투자서비스, 경기관련 소비재, 음식료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국채금리 급등 속 애플(-0.78%), 마이크로소프트(-2.61%), 아마존(-3.66%), 알파벳A(-1.30%), 메타(-1.92%), 넷플릭스(-0.94%), 엔비디아(-2.82%), 테슬라(-2.02%) 등 대형 기술주들이 일제히 하락했고, 에어비앤비(-6.47%)는 키뱅크의 투자의견 하향 조정 소식에 큰 폭 하락. 맥코믹(-8.46%)은 3분기 실적이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면서 급락했고, 일라리릴리(-2.43%)는 암 치료회사인 포인트 바이오파마(Point Biopharma)를 약 14억 달러(주당 12.5달러)에 인수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하락. 반면, 휴렛팩커드(+1.79%)는 뱅크오브아메리카의 투자의견 상향 조정 소식에 상승.

다우 -430.97(-1.29%) 33,002.38, 나스닥 -248.30(-1.87%) 13,059.47, S&P500 4,229.45(-1.37%), 필라델피아반도체 3,376.58(-2.10%)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올해 분양 물량 5년만에 최저.

- 전체 공급물량의 50%가 수도권에서 분양.

지방은 상대적으로 분양 실적이 저조함. 

 

- 분양가 상승세 지속. 무순위 청약 인기 치솟는 중.

- 올해 초, 규제 완화로 거주지나 다주택자 여부에 상관없이 무순위 청약에 넣을 수 있도록 문턱 낮아진 것이 경쟁률 상승의 주요 원인

- 청약 통장이 없어도 되고, 100% 추첨제 --> 청년층도 뛰어듦.

 

- 한국 가계부채 증가율 5년간 OECD 국가 중 1등.

- 가계의 이자 부담 역대 최대 수준, 기업 부채와 정부부채 증가세여서 부실의 뇌관 될 수도.

-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108%.

- 가계 빚 증가하는데 고금리 상황 장기화. 변동금리 대출 비중 높음... --> 금리 인상 직격탄 --> 가처분 소득 줄고 --> 소비 타격 --> 기업 실적 악화.

 

- 국제 유가 소폭 내림세.  다시 배럴당 88달러 선.

- 친환경 에너지 전환이 관건. 친환경 에너지 보급 지지부진하면 러시아, 사우디 등에 원유 시장 좌지우지 될 것.

- 연말까지는 유가 강세 유지 예상. (미국의 경기 흐름 양호, 중국의 수요 강세)

- 변수는 OPEC. 연말까지 감산 유지 계획. 석유기업들의 설비 투자 부족으로 유가 상승 가능성.

vs . 경기 침체로 원유값 급락 한다는 전망도. 내년 5월 인도분 선물 가격은 배럴당 81달러.

 

 

- 9월 공매도 비중 올해 들어 가장 큼

-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5% 넘고, 고유가 고물가 지속되며 증시 하방 예측 투자자 증가.

- 환율 1350원으로 급등. --> 환차손 인식한 외인이 국내 증시에서 이탈하는 원인.

- 공매도 몰린 종목 : 유상증자, 실적 악화, 업황 둔화 등 악재 발생함. 

- 공매도가 투자심리엔 악영향 미칠 수 있지만, 공매도 몰렸다고 무조건 내리는 것도 아님.

 

- 킹달러 현상. 수입 물가 밀어올림. 

 

- 중장년층의 미래 기대소득을 DSR 산정 시 만기 조정에 반영하는 것 도입 가능성.

- 근로소득과 함께 연금, 자산소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상환 능력을 따진 뒤 대출 만기 설정에 반영.

- 은퇴 후 상환 능력이 낮아지는 것을 감안해 만기를 40년 미만으로 내리게 하는 방법.

--> 차주로서는 대출한도 감소, 대출 문턱 높아짐.

--> 가계대출 증가 억제에는 효과 있음.

- 반대로 20대 초반 차주가 대출 받을 때, 만기에 따라 소득을 20~50% 높게 잡아줄 수도 있음.

 

- 배터리 소재 중국 수입 의존도 97%.

- 양극재는 1차적으로 중국 업체가 가공한 뒤 국내에서 양극재로 재생산됨.

-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모두 의존도 높은 상황.

- 국내 기업들이 소재 자립을 추구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분위기.

 

- 파월 : 물가 안정에 집중. 고금리 유지 각

 

- 미국 : 중국과 '디리스킹' -- 기술 규제 조치를 꾸준히 강화하겠다는 전략. 

--> 엔비디아 비상. 매출 30%는 중국에서 나옴.

- EU : 4대 첨단기술 (반도체, ai, 양자, 바이오산업) 수출 통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른 국가' 배척)

 

- 미국 : AI용 반도체에 대한 추가적 수출 통제 조치 발표 예정.

--> 한국 기업은 애초에 ai용 반도체 생ㅅ나 ㄴㄴ. 영향 적음. 

+) 첨단 반도체 장비 중국 내 반입 허용하는 '장비 수출통제 유예 조치' 무기한 연장돼서 ㄱㅊ음

 

- IMF : 인플레 장기화 경고. 

- 일관된 통화정책이 중요. 긴축적 통화정책을 꾸준히 펼쳐야 함.

 

'하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1006 금  (0) 2023.10.06
231005 목  (1) 2023.10.05
230927 수  (1) 2023.09.27
230926 화  (0) 2023.09.27
230925 월  (0) 2023.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