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루정리

230717 월

by 홍삼절편 2023. 7. 17.
제목 : 뉴욕 마감시황
7/14(현지시간) 뉴욕증시 혼조, 다우(+0.33%)/나스닥(-0.18%)/S&P500(-0.10%) 기업 실적 호조(+), 금리 강세(-)

이날 뉴욕증시는 주요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이 호조를 보인 점과 국채 금리가 다시 반등했다는 소식이 엇갈리면서 혼조세로 장을 마감. 다우지수가 0.33% 상승한 반면,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는 0.10%, 0.18% 하락.

본격적인 2분기 어닝 시즌이 시작된 가운데, 주요 기업들의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모습. JP모건체이스와 씨티은행, 웰스파고 등을 시작으로 은행들의 실적 발표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가운데, JP모건체이스는 높은 금리와 이자 수입 증가로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공개했음. 씨티그룹도 전년동기대비 실적이 감소하긴 했지만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을 발표했으며, 웰스파고도 예상보다 개선된 실적을 발표했음. JP모건체이스는 2분기 순이익이 144억7,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67% 급증했다고 발표. 주당순이익은 4.75달러로 팩트셋이 집계한 시장 전망치(3.97달러)를 크게 웃돌았으며, 매출도 413억1,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34% 증가해 시장 전망치(386억6,000만달러)를 상회했음. 씨티그룹은 2분기 순이익이 전년동기대비 36% 급감하고 매출도 1% 감소했지만, 주당순이익은 1.33달러로 시장 전망치(1.31달러)를 웃돌았고 매출도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음. 웰스파고는 2분기 순이익이 49억4,0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7% 급증했고 주당순이익 1.25달러를 기록해 시장 전망치를 상회했음.
한편, 팩트셋에 따르면, S&P500지수에 상장된 기업들의 2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대비 7%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이는 2020년 2분기 이후 가장 부진한 수치임.

Fed 위원들의 매파적 발언 속 美 국채금리가 재차 강세를 보인 점은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 크리스토퍼 월러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는 전일 한 연설에서 "인플레이션을 우리의 목표치로 되돌리기 위해 올해 남은 4번의 회의 동안 2회 더 0.25%포인트씩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밝힘. 월러 이사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둔화한 것은 환영할만한 소식이라 면서도 "하나의 지표가 추세가 되지는 않는다"라고 강조했음. 월러 이사의 발언 이후 미시건대학교가 집계하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가 거의 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으로 상승한 점도 긴축 경계감을 키웠음. 미시건대에 따르면, 7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는 72.6으로 급등했음. 이는 지난 2021년 9월 이후 1년 10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임. 1년 기대인플레이션은 3.4%로 예상돼 지난 6월 3.3%에서 소폭 상승했으며, 5년 기대 인플레이션도 3.1%로 전월의 3.0%에서 소폭 상승했음.
페드워치에 따르면, Fed가 7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상할 가능성은 96% 수준으로 반영됐으며, 9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전일 11.2%에서 이날 13.3%로 상승했음. 11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도 19.8%에서 27.6%로 상승했으며, 12월에 인상할 가능성도 15.0%에서 23.4%로 상승했음.

이날 국제유가는 차익 실현 및 달러 강세 등에 하락.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8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 대비 1.47달러(-1.91%) 하락한 75.42달러에 거래 마감.

이날 채권시장은 크리스토퍼 월러 Fed 이사 매파적 발언 및 소비자심리지수 개선 등에 약세를 나타냈고, 달러화는 강세를 기록. 대표적인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인플레 둔화 영향 지속 속 상승.

업종별로는 대부분 업종이 하락한 가운데, 통신서비스, 에너지, 기술장비, 소프트웨어/IT서비스, 경기관련 서비스업, 화학, 보험, 자동차, 소매, 음식료, 개인/가정용품, 복합산업, 운수, 산업서비스, 재생에너지 업종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짐. 종목별로는 국채금리 강세 속 애플(+0.08%), 마이크로소프트(+0.75%), 아마존(+0.28%), 알파벳A(+0.71%), 메타(-1.45%), 넷플릭스(-1.88%), 테슬라(+1.25%), 엔비디아(-1.10%) 등 대형 기술주들이 엇갈린 모습을 나타냈고, JP모건체이스(+0.60%)는 실적 호조 등에 소폭 상승. 유나이티드헬스 그룹(+7.24%)은 호실적 발표 등에 큰 폭 상승. 반면, 웰스파고(-0.34%), 씨티그룹(-4.05%)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에도 하락.

다우 +113.89(+0.33%) 34,509.03, 나스닥 -24.87(-0.18%) 14,113.70, S&P500 4,505.42(-0.10%), 필라델피아반도체 3,750.41(-1.23%)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분간 금리 내리기 어렵다. 물가 상승률 반등 예상. 기준금리 3.75%까지는 인상 가능성.

- 금리 3.5% 동안 3개월동안 가계부채 상승함. 6월 말 가계대출잔액이 5조 9000억원 증가. 1062조원으로 역대 최대치. 주담대는 20년 2월 이후 가장 크게 7조 8000억원 증가.

 

- 중국 리오프닝 미미.

- 중국 생산자 물가 (-). 소비자물가 상승률 0%. '디플레이션' 우려.

 

- 미국 CPI PPI 상스률 예상치 밑돎. 

- '골디락스' 국면 : 성장률 견조. 인플레이션 없는 이상적 상태.

 

- '금리 단층 현상' : 중신용자 대출 받기 어려움. 신용점수 높은데 시중은행 대출 불가 

- 고신용자 (1~3등급) 이더라도 2등급 중하위권 부터는 은행 대출 받기 어려운 것.

- 연체율 상승으로 은행 대출 깐깐해짐. 

- 신용점수 올라가는 '신용점수 인플레이션'도 대출 문턱 높아지는 배경. 각종 자료 신용평가사에 등록하면 점수 올라감.

- 신용점수 900점 넘는 사람이 42%.

--> 신용점수 변별력이 떨어지다 보니 은행들은 자체 신용평가 모델 적극 활용 중. 

 

- 시중은행 대출 어렵다면 인터넷 은행이나 p2p업계에서 중금리 대출 받는 것이 차선책.

- 인터넷은행 3사의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은 평균 20%대에 그침.

- P2P 대출은 신용대출 잔액이 2000억원에 미치지 못함..

--> 중신용자 상당수가 연 10% 넘는 저축은행, 카드, 캐피탈 사에 문 두드리는 실정.

(P2P 업체... 크라우드 펀딩 형식)

 

- 새마을금고 빠진돈 5대 은행 정기예금으로. 

- 새마을금고 감독권을 행안부 --> 금융위로 옮겨야?

- 새마을금고는 행안부가 포괄적으로 관리, 감독.

- 신용사업과 공제사업은 금융위와 '협의감독'할 수 있음. 금감원은 행안부의 요청이 있을 때 검사 지원 가능.

- 행안부 안에선, 타 상호금융기관과 건전성 규제차이 등을 개선하면 감독권 이관 없이 효율적으로 대응 가능하다고 주장.

- 새마을금고 통해 지역사회 미치는 영향력 축소되는 것도 싫어함 ㅋㅋ

- 금융위도 금고수 1294개, 거래자 2262만명 떠안는것 싫어함. 관련 인력 충원 가능성도 적음.

 

- 저축은행은 통상 은행권 수신금리보다 1.0%포인트 가량 높은 금리 제공. 

- pf 부진에 따른 연체율 상승, 부실 우려로 은행권 자금 쏠림 가능.

 

- 저축은행 부실여신 NPL 매각 : 기존 캠코에 한정 --> 부실채권전문투자회사 FNI까지로 확대.

-  개인 연체채권 매입 주체 확대될 경우 : 과잉 추심 문제 발생 가능.

 

- 메자닌 : 선순위 아닌 후순위 대출.

 

- ESG워싱을 주의!! (esg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처럼 위장하는 것)

 

- 약달러. 

- 신흥국은 달러 강세로 외채 상환에 힘들었지만 숨통 트일 것.

- 달러 팔고 신흥국 자산 사는 캐리 트레이드 유행 가능성.

- 달러 약세 수출 경쟁력 높여 미국 수출 기업에 도움 줄 것.

 

'하루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719 수  (0) 2023.07.19
230718 화  (0) 2023.07.18
230714 금  (0) 2023.07.14
230713 목  (0) 2023.07.13
230712 수  (0) 2023.07.12